코로나19 이후 수많은 것들이 바뀌었다. 그중 가장 크게 변화한 것이 있다면 바로 건강에 대한 지대한 관심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을 통해 비대면 진료 등을 경험한 사람들은 이제 보다 진화한 디지털 헬스케어를 통해 좀 더 건강한 삶을 꿈꾸고 있다.
글. 이경희
몸이 아파야 발걸음 무겁게 찾아갔던 병원, 오래 기다려야 만날 수 있었던 의사, 진통제로 버티던 통증. 불과 얼마 전까지 건강을 챙기기란 시간도 비용도 많이 드는 일이었다. 그러나 의학과 IT가 만나 눈부신 발전을 이룬 지금 이 시대, 건강을 챙기는 일은 조금 다른 양상을 띠게 되었다. 아프고 난 뒤에 병원이나 의사를 찾는 것이 아니라 미리 내 건강을 돌봄으로써 질병과 고통을 방지하고자 하는 분위기가 만들어진 것이다.
그래서 디지털 헬스케어라는 단어는 우리 시대에 더 이상 새롭지 않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한마디로 IT 기술과 의료가 하나로 융합되어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와 질병 예방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는 예방학적 측면에서 고령화 인구를 넘쳐나는 현시대에 환자와 국가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는 것은 물론, 개인의 행복까지 담보하는 것으로 매우 뜨거운 화두가 되었다.
이 같은 분위기는 정부의 기조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국가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는 정책하에 보건복지부에서 디지털 기반 의료를 실현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신시장을 창출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바이오헬스 산업이 각광 받고 있는 것도 이 같은 흐름에 기반한 것으로 우리나라는 현재 스마트폰 및 IoT 기반 웨어러블 기기와 같은 디지털 도구, 의료기기 전문 업체와 글로벌 ICT 기업의 시장 진출로 인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에서도 뒤처지지 않기 위해 질주하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현재 여러 분야에서 우리들의 삶에 자연스럽게 녹아들고 있다. 우리가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것은 다양한 스마트폰 앱이나 웨어러블 기기, 즉 스마트워치 등을 통해 건강을 관리하는 모바일 헬스케어다. 이 앱이나 기기들은 심박수 측정, 운동 측정, 수면 분석, 스트레스 정도, 영양 등을 파악해 정보를 제공해 개인이 스스로 건강을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코로나19 팬데믹에 익숙해진 원격진료도 디지털 헬스케어의 중요 항목 중 하나다. 이는 비대면으로 진행되어 거동이 불편하거나 증상이 심한 환자들에게 병원에 가지 않고도 음성이나 화상통화를 통해 의사와 상담하고 처방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대중에게 가장 익숙해진 방법이기도 하다.
보건 의료 분석학 역시 발달했다. 이는 개인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중증 질환 예방과 관리에 활용하는 분야로 질병 예측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중증 질환자들에게 호평받고 있다. 이외에도 디지털 보건 의료 시스템을 구축해 개인 건강 기록을 디지털화하고 의료기관과 환자 간 정보 교류를 간편하게 함으로써 환자들의 편의성을 크게 높인 것 또한 눈에 띄는 부분이다.
인공지능, 가상현실, 재생의료, 유전체 분석 등 뛰어난 기술이 기반이 될 미래 헬스케어 시스템. 의료 서비스를 극대화하고 환자 중심의 의료 시스템을 만드는 가장 혁신적인 주체자로서 향후 국민건강에 이바지할 것이라는 점에는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