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부터 일·가정 양립 지원, 청년 및 중장년 고용 활성화, 취약계층 지원,
근로환경 개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 변화가 이뤄진다.
세대별, 대상별로 무엇이 달라지고, 국민의 삶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본다.
글. 편집실
사진. 고용노동부
‘쉬었음’ 청년이 42만 명에 달할 만큼 많은 청년이 힘들어하고 있다. 이에 기업의 청년고용 확대를 지원하고, 취업애로청년의 취업을 촉진함으로써 청년고용을 활성화한다.
고용노동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청년에게 새로운 기회를 주는 디지털 교육 강화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첨단 분야에 청년들이 더 많이 진출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았다.
취업이 잘되는 유망 자격 분야를 개발하고, 자격증을 더욱 쉽게 취득할 수 있도록 폴리텍 등을 통해 올해 3만 5천 명, 3년간 14만 명의 유망 자격훈련을 지원한다. 또한, 현장 경험이 필요한 중장년을 위해 올해부터 ‘경력지원사업’을 신설하여 일·경험 기회도 제공한다.
기존 경력을 사다리로 재취업하는 경우가 많은 기술직·전문직 등 중장년을 위해 ‘경력이음형 일자리’ 우수모델을 올해 6개 이상 발굴하고, 전 산업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3년간 4천 개 일자리를 지원한다.
다른 직종으로 이동이 많은 사무직·서비스직 등 중장년을 위해서는 고용센터와 중장년내일센터를 통해서 ‘경력전환형 일자리’를 3년간 6천 개 발굴하고, 지역대학 등을 통해 채용예정 훈련과 일자리 알선을 지원한다.
장애인 의무고용률 초과 사업장 등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장이 장애인을 추가 고용할 수 있도록 장애인 고용장려금 대폭 확대, 표준사업장 도약지원형 신설 등 장애인 고용예산을 319억 원 증액하여 역대 최고 수준인 9,372억 원으로 편성한다.
플랫폼 노동자, 프리랜서 등 노동약자를 위해 ‘노동약자 지원사업’을 별도로 신설한다. 맞춤형 인프라인 이음센터를 전국 10개소로 확충하고 이음센터 내에 노동약자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법률·세무·심리상담 등 특화 프로그램과 분쟁 조정기능을 신설한다. 아울러, 체불임금의 일부를 국가가 대신 지급해 주는 대지급금 지원, 체불청산·생활 안정자금 융자 등 노동약자 권리구제 예산을 전반적으로 확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