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짜고짜 설문

호기심의 힘,
우리가 세상을 탐구하는 이유

직장 생활에서 호기심은 업무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끌어낼 수 있는 중요한 힘이 될 수 있다.
이번 다짜고짜 설문에서는 직장 생활에서 어떤 때에 호기심을 느끼고, 그것이 일하는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더욱 즐겁고 혁신적인 근무 환경을 만들기 위한 아이디어는 호기심에서 출발한다는 걸 잊지 말자.

글. 편집실 
설문조사. 헤이폴(조사대상 200명, 조사기간 2025.3.11.~3.12.)

  • 새로운 문제나 도전에 직면했을 때, 가장 먼저 어떤 생각이 드나요?

  • 동료나 상사의 새로운 업무수행 방식에 대해 호기심을 느낄 때가 있나요?

  • 호기심을 자극하는 직장 내 환경 요소는 무엇인가요?

  • 호기심을 추구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장애물은 무엇인가요?

나는 [     ]할 때 호기심을 느낀다!
과학자는 [항상] 호기심을 느낀다
포항 P공과대학교 최언우 씨

과학 분야에서 호기심은 연구를 진행할 때 가장 큰 원동력이 됩니다. 실험에서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왔을 때, 그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더 깊이 이해하려는 호기심이 없으면 새로운 발견으로 이어지지 않죠. 또한, 같은 주제라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거나, 기존의 방식에 의문을 품고 새로운 방법을 시도해 보는 과정에서도 호기심이 중요합니다. 동료들과의 협업이나 회의에서도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나 의견을 열린 마음으로 생각합니다.

재취업이 필요한 때 [나만의 강점]에 호기심을 느낀다
양산시 증산면 이명율 씨

재취업을 준비하면서 가장 중요한 건 호기심이라고 생각해요. 예전에는 이미 잘 알고 있던 일만 하다 보니까 딱히 ‘배워야겠다’라는 마음이 들지 않았는데, 이제 새로운 직장을 찾고 있는 시점에서는 ‘이건 어떻게 다를까?’ ‘새로운 기술은 어떤 방식으로 써야 할까?’ 같은 생각들이 계속 떠오르죠. 그리고 그런 생각들이 도리어 재취업을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되더라고요.

호기심이 생기면 반드시 [충족] 시키려고 합니다
강원도 동해시 장우익 씨

호기심이 생기면 저는 몇 가지 방법으로 그 호기심을 충족시키려고 합니다. 첫째, 관련된 주제에 대해 공부하는 것입니다. 요즘은 온라인 강의나 자료가 많아서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둘째, 다른 사람에게 질문을 통해 직접적인 피드백을 받으며, 그들의 경험과 지식을 통해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셋째, 팀 회의나 워크숍에 적극 참여하여 다양한 의견을 듣고 토론하는 것도 호기심을 자극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월간 내일」에서는 2025년 ‘일의 감각’을 주제로 한 해 동안 사소한 설문조사를 실시합니다.
5월호에서는 “정보를 내 것으로 만들어 가치를 창출하는 융합력”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들려주세요.
QR을 스캔해 설문조사에 참여하고 상품도 받으세요!

설문조사 참여하기